no image
[Linux] AH00548: NameVirtualHost has no effect and will be removed in the next release
Apache 웹 서버를 사용하다 보면 로에 "AH00548: NameVirtualHost has no effect and will be removed in the next release"와 같은 메시지를 보게 될 때가 있다. 이는 Apache 2.4 버전에서 나타나는 경고 메시지로, 다음 릴리즈에서는 해당 구문이 제거될 예정임을 알리는 것이다. 이 메시지의 원인과 해결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원인Apache 설정 파일에서 NamevirtualHost 지시어가 더 이상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출력된다.Apache 2.2 버전에서는 여러 가상 호스트를 설정하기 위해 NameVirtualHost 지시어를 사용해야 했다.하지만 Apache 2.4 버전부터는 이 지시어가 필요 없도록 변경되었다.Apache 2..
2024.06.04
no image
[Linux] 서버 점검을 위한 Bash 스크립트
매번 리눅스 서버 점검할 때마다 명령어를 날려야 한다는 건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물론, 상세한 정보와 정확한 파악을 위해서는 직접 명령어를 날리며 상세 내역을 확인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하지만 간단한 점검 차원이라면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시스템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스크립트 소개아래 스크립트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시스템 정보 출력: 운영체제 버전, DB 버전 및 현재 시간 출력시스템 리소스 모니터링: CPU, 메모리, 스왑 사용량 출력 파일 시스템 사용량 출력: 각 파일 시스템의 사용 용량 및 상태 출력 디스크 건강 상태 확인: SMART Health Status를 통한 디스크 건강 상태 확인 부팅 정보 출력: 시스템 부팅 시간 및 운영 시간 출력 현재 로그인 사용자 목록 출..
2024.05.13
no image
[Linux] 계정 생성, 삭제, 비밀번호 설정
리눅스에서 계정 생성, 삭제, 비밀번호 설정하는 방법을 정리해보자. 정리에 앞서 필자 OS 정보는 아래와 같다. 더보기 Rocky Linux 8.6 버전 계정 및 패스워드 관련 명령어 확인 계정 생성 : useradd 계정 삭제 : userdel 패스워드 설정 : passwd 1. 계정 생성 보통 계정의 홈은 /home/계정명으로 생성된다. 옵션을 통해 홈 디렉토리 변경 가능하다. # testuser 계정이 생성 된다. root@localhost ~]# useradd testuser # testuser2 계정이 생성 된다. root@localhost ~]# useradd testuser2 2. 계정 비밀번호 설정 # testuser 계정의 암호는 test12#으로 설정된다. root@localhost ~..
2023.11.21
no image
[Linux] 리눅스 Hostname 변경하기 (CentOS & Rocky 6, 7, 8)
HOSTNAME 영구 변경 #현재 호스트명 확인하기 [root@localhost ~]# hostname localhost --------------------------------------------- #CentOS 6 [root@localhost ~]# vi /etc/sysconfig/network HOSTNAME=web #저장 후 재 접속 시 아래와 같이 변경 사항 확인 [root@web ~]# --------------------------------------------- #CentOS 7, Rocky 8 [root@localhost ~]# hostnamectl set-hostname web1 #저장 후 재 접속 시 아래와 같이 변경 사항 확인 [root@web1 ~]# -------------..
2023.11.15
no image
[Linux] kdevtmpfsi, kinsing 멀웨어 해결방법
원인파악 특정 시점부터 ssh 접속이 안되길래 로그를 살펴보니 특별한 사유를 알 수 없었습니다. ssh 접속이 안 되는 건 sshd 서비스가 내려가서 접속이 안되었습니다. #서비스 연결 상태 확인 netstat -ant | more #sshd start 명령어 service sshd start #서비스 연결 상태 재확인 netstat -ant | more 위와 같이 sshd를 다시 start 한 뒤 서비스가 내려간 이유를 찾는 과정에서 특정 프로세스에서 cpu 가동률을 높게 잡고 계속 사용 중인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아래 사진과 같이 CPU에 부하를 주는 프로세스는 kdevtmpfsi 였고, 해당 프로세스가 현재 제공 중인 서비스와 무관하게 실행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kill 명령어를 통해 강제로 프..
2023.08.02
no image
[Linux] 리눅스 파티션 추가 및 디스크 마운트(fdisk)
리눅스(CentOS, Rocky) 하드디스크 추가 방법입니다.추가할 하드디스크가 장착 및 연결되었다는 가정하에 fdisk를 통해 파티션 설정하는 방식입니다. 1. 현재 디스크/파티션 조회fdisk -lfdisk-l 명령어를 통해 디스크/파티션 리스트를 조회할 수 있다.새로 추가하려는 하드디스크 용량은 2TB이다. 2. 파티션 설정 (디스크 파티셔닝)fdisk /dev/sdaWelcome to fdisk (util-linux 2.23.1).Changes will remain in memory only, until you decide to write them.Be careful before using the write command.Command (m for help): fdisk /dev/sda를 입력 시..
2023.07.18
no image
[Linux] 방화벽 포트 개방(firewall)
sshd 설정 파일을 통해 포트는 변경 완료 했지만 방화벽에서 sshd 포트를 개방하지 않아 ssh 외부 접근이 불가능하다. 리눅스 방화벽 정책(포트) 변경# 현재 방화벽 정책 확인firewall-cmd --list-all # SSH 포트 정책 추가firewall-cmd --permanent --add-port=10022/tcp# 방화벽 정책 변경 사항 적용을 위한 reloadfirewall-cmd --reload# 현재 방화벽 정책 재확인firewall-cmd --list-all   SSH 접속 확인
2023.07.05
no image
[Linux] job for sshd.service failed because the control process exited
문제 확인 SSH 접속 포트번호를 변경하기 위해서 /etc/ssh/sshd_config 파일 수정 변경한 설정 파일 적용을 위해 sshd 데몬 재시작 시 오류 발생 systemctl restart sshd #위 코드 실행 시 아래와 같은 에러 문구 출력 Job for sshd.service failed because the control process exited with error code. See "systemctl status sshd.service" and "journalctl -xe" for details. 원인 파악 selinux가 활성화(enforcing) 상태이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로 파악 해결 방안 selinux Permissive로 전환 [아래 코드 참조] - SELinux는 enfor..
2023.07.05
no image
[Linux] TLS 1.2 프로토콜 설정 (Tomcat, server.xml)
주요 웹 브라우저 개발사에서 TLSv1.0, 1.1 버전에 대한 지원 종료에 따라 보안 취약점 개선을 위해 비활성화를 권고 # server.xml 파일에서 sslProtocols, sslEnabledProtocols 설정 (Tomcat 6 또는 7)
2023.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