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image
[Linux] SSH 자동 로그아웃(Timeout 설정)
리눅스 SSH 자동 로그아웃은 세션이 비활성 상태일 때 일정 시간 후 자동으로 종료되도록 설정하는 보안 기능이다.이 기능은 TMOUT 환경 변수를 설정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 변수는 사용자가 지정한 초(seconds) 단위로 비활성 상태를 감지하여 세션을 종료한다.설정 방법설정은 사용자 쉘에 따라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전역 설정: /etc/profile 또는 /etc/bashrc 파일에 추가해 시스템 전체에 적용- 개별 사용자 설정: 각 사용자의 ~/.bashrc 또는 ~/.bash_profile에 설정 SSH 자동 로그아웃 활성화[root@linux ~]# vi /etc/profileexport TMOUT=300#위 설정은 5분(300초)동안 비활성 상태일 때 자동 로그아웃 처리 자동 로그아웃 ..
2024.12.02
no image
[Linux] Apache-Tomcat 8.5버전 설치하기
OSRocky Linux 8.71. 패키지 업데이트#yum 속도 개선dnf updatednf update로 예상치 못한 업데이트가 적용될 수 있으니 주요 패키지 업데이트를 제한하거나 중요한 설정은 백업하는 것이 좋다. 2. SELinux 설정cat /etc/selinux/config | grep SELINUX#SELINUX가 disabled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아래 명령어 진행SELINUX=disabled빠른 테스트를 위해 SELinux를 임시 비활성화한 것이다.  3. OpenJDK 버전톰캣 8.x는 Java 8 이상에서만 실행 가능하므로, OpenJDK 버전을 반드시 확인해야한다.8버전 이하 사용 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java -version#openjdk version "1.8.0_352" ..
2024.11.26
no image
[Linux] 리눅스 네트워크 IP 설정하기 (ifcfg-ens192)
ifcfg-ens192 파일이란?경로: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192ifcfg-ens192 파일은 특정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한 설정을 저장하는 구성 파일이다. 보통 시스템 부팅 시 네트워크가 자동으로 활성화되도록 설정하거나 IP 주소 및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ens192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이름이며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다.1. 파일 구조ifcfg-ens192 파일은 키-값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JSON 형식 같이 저장함)주요 항목들은 아래와 같다.#DEVIC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이름을 나타낸다.예: DEVICE=ens192#BOOTPROTO: IP 주소를 할당받는 방법을 지정한다.- none: 정적 IP ..
2024.11.25
no image
[Linux] volume group "rl" has insufficient free space : 51200 required (disk umount & 파티션 축소)
디스크 마운트 작업 중 발생한 [volume group 'rl' has insufficient free space] 에러는 현재 볼륨 그룹 rl에 남은 공간이 요청하는 용량에 미치지 못해 발생하는 메시지다.즉, rl 볼륨 그룹에 더 많은 용량을 할당해야 하므로 물리적인 볼륨을 추가하거나 물리 볼륨을 추가가 불가능한 상황이라면 남는 논리 볼륨의 용량을 줄이고, 줄인 공간을 사용하여 추가하려는 논리 볼륨을 생성하면 된다.**이 작업에는 데이터 손실 위험이 있으므로 필수적으로 백업을 먼저 진행해야한다.[disk@localhost ~]$ lsblkNAME MAJ:MIN RM SIZE RO TYPE MOUNTPOINTSsda 8:0 0 4T 0 disksdb ..
2024.11.17
no image
[Linux] 디스크 파티션 생성 및 마운트 설정
[disk@localhost ~]$ lsblkNAME MAJ:MIN RM SIZE RO TYPE MOUNTPOINTSsda 8:0 0 4T 0 disksdb 8:16 0 1T 0 disk├─sdb1 8:17 0 600M 0 part /boot/efi├─sdb2 8:18 0 1G 0 part /boot└─sdb3 8:19 0 1022.4G 0 part ├─rl-root 253:0 0 70G 0 lvm / ├─rl-swap 253:1 0 31.5G 0 lvm [SWAP] └─rl-home 253:2 0 920.9G ..
2024.11.16
no image
[Linux] NFS 마운트
메일 서버 업그레이드 사업을 추진하며 기존 AS-IS 서버에서 TO-BE 서버로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이 필요했다.백업 방식에는 2가지 안이 도출 되었으며 아래와 같다. 1) 실제 DML 데이터에 접근해야하고 운영 DB에도 접근해야하므로 신규 TO-BE 서버에서 기존 AS-IS 스토리지쪽 디스크 마운트2) AS-IS 서버에 마이그레이션 툴을 설치하여 이관 2번 안으로 진행할 경우 실제 운영하고 있는 서비스에 부담이 있을 수 있으므로 1번 안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선택하였고 그로 인한 디스크 마운트 방식이 NFS 마운트 방식이다.NFS(Network File System)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서버의 디스크를 로컬 디렉터리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프로토콜이다. NFS를 통해 여러 시스템이 같은 파일을 ..
2024.11.12
no image
[Linux] 파티션 크기 문제 해결하기
문제 상황신규 서버를 구축하며 /data에 4TB를 할당했음에도 불구하고, df -h 명령으로 확인한 결과 2TV만 표시되는 문제가 발생했다.[root@localhost ~]# df -h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dev/sdb1 2.0T 15G 2.0T 1% /data[root@localhost ~]# lsblkNAME MAJ:MIN RM SIZE RO TYPE MOUNTPOINTSsda 8:0 0 1T 0 disk├─sda1 8:1 0 600M 0 part /boot/efi├─sda2 8:2 0 1G ..
2024.10.10
no image
[Linux] 스토리지 수동 마운트하는 방법 (자동 마운트 문제 해결)
OSCentOS 7 해당 게시물은 서버 재부팅 후 기존에 정상적으로 사용하던 스토리가 자동 마운트되지 않는 상황에서 수동으로 조치하는 방법을 기술했다. 문제 원인'/etc/fstab' 파일에 해당 스토리지에 대한 마운트 설정이 누락된 경우 발생 가능'/etc/fstab' 파일에 잘못된 UUID 또는 디스크 경로가 설정된 경우파일시스템이 손상되었거나 디스크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경우부팅 순서가 잘못된 경우 (스토리지 서버 부팅 후 실서버 부팅이 필요함) 해결 방법 (수동 디스크 및 스토리지 마운트)1. 마운트할 디스크 확인먼저, 마운트할 디스크의 장치 이름을 확인한다. (실제 확인되는 경로와 다르므로 이 부분은 유동적으로 적용 필요)# 블록 장치의 정보를 표시. 각 디스크와 그 디스크에 마운트된 파티션을 확..
2024.08.27
no image
[Linux] Cannot retrieve metalink for repository: epel/x86_64. Please verify its path and try again
[user@local ssh]# yum groupinstall "Development Tools" -yLoaded plugins: fastestmirror, langpacksbase | 3.6 kB 00:00:00 One of the configured repositories failed (Unknown), and yum doesn't have enough cached data to continue. At this point the only safe thing yum can do is fail. There are a few ways to work..
2024.07.30